목록Unity (61)
unihee1의 블로그
1. UGS란?Unity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게임 개발자들이 게임을 더 쉽게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도구와 기능을 제공한다. 2. 네트워킹 관련 기능 - Cloud Code JavaScript 기반으로 서버 측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Unity Game Services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고 웹 서버나 게임 서버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클라우드 서버에서 실행되는 코드로 데이터베이스 작업, API 호출, 계산 등 서버 측 로직을 처리할 수 있다.C#으로 모듈을 코딩하여 업데이트하는 방식도 가능하지만 잘 작동하지 않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Cloud Save사용자의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이를 다양한 기기에서 불러올 수 있는 서비스이다..

2025.04.11 - [Unity] -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오브젝트풀)_ 4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오브젝트풀)_ 4일차2025.04.10 - [Unity] -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3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3일차2025.04.09 - [Unity] -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FSM)_ 2일차 [TIL]unihee1.tistory.com이 게시물의 영상을 보면 몬스터의 HP가 깎을 때마다 UI에 반영되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오늘은 HP UI를 만들고 만든 UI가 회전되지 않도록 스크립트를 수정하는 내용을 다룰 것이다. ..
2025.04.10 - [Unity] -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3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3일차2025.04.09 - [Unity] -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FSM)_ 2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FSM)_ 2일차2025.04.08 - [Unity] - [TIL]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1일차 [TIL] Uunihee1.tistory.com지난 게시글에서 ChaseState를 통해 플레이어가 일정 범위내로 들어오면 몬스터가 플레이어를 쫓아가도록 구현하였다.오늘은 ChaseState를 조금 수정하여 동물의 행동을 구현해 보았다. 동물은 플레이어가 일정 범..
2025.04.09 - [Unity] -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FSM)_ 2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FSM)_ 2일차2025.04.08 - [Unity] - [TIL]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1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1일차최종프로젝트에서 내가 맡은 역할은 바로 플레이어를 공격하고 추격하는 몬스터unihee1.tistory.com몬스터 AI를 구현할 때 사용한 FSM 패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1. FSM(유한 상태 기계)의 기본 개념FSM은 여러 개의 상태 중에서 하나의 상태를 활성화하고 조건에 따라 상태가 다른 상태로 전이되도록 만드는 구조이며 상태 전환을 명확하게 정..
2025.04.10 - [Unity] -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3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3일차2025.04.09 - [Unity] -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FSM)_ 2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FSM)_ 2일차2025.04.08 - [Unity] - [TIL]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1일차 [TIL] Uunihee1.tistory.com오늘은 몬스터가 데미지를 받고 몬스터의 체력이 0이되면 아이템을 드랍하며 죽는 기능을 구현하였다.그중 몬스터와 아이템을 오브젝트 풀링 방식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 쓸 것이다. 1. MonsterPoolManag..
2025.04.09 - [Unity] -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FSM)_ 2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FSM)_ 2일차2025.04.08 - [Unity] - [TIL]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1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1일차최종프로젝트에서 내가 맡은 역할은 바로 플레이어를 공격하고 추격하는 몬스터unihee1.tistory.com어제와 마찬가지로 몬스터 구현을 진행하였다.오늘은 몬스터가 Wander 상태(순찰)일 때 일정범위를 왔다갔다 움직이도록 구현하였다. 1. WanderState 스크립트using UnityEngine;public class WanderState : IState{ ..
2025.04.08 - [Unity] - [TIL]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1일차 [TIL] Unity 최종프로젝트 몬스터 AI 구현하기_ 1일차최종프로젝트에서 내가 맡은 역할은 바로 플레이어를 공격하고 추격하는 몬스터를 구현하는 일이다.오늘은 몬스터 데이터를 만들고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는 것까지 구현해보았다. 1. MonsterDataunihee1.tistory.com어제 간단하게 몬스터가 플레이어를 추격하도록 구현하였다.오늘은 플레이어가 일정 범위 밖으로 벗어나면 추격하지 않는 기능과 애니메이션을 추가해보았다.1. MonsterController 스크립트의 변화using UnityEngine;using UnityEngine.AI;public class MonsterController : M..

최종프로젝트에서 내가 맡은 역할은 바로 플레이어를 공격하고 추격하는 몬스터를 구현하는 일이다.오늘은 몬스터 데이터를 만들고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는 것까지 구현해보았다. 1. MonsterData 클래스using System.Collections;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using UnityEngine;[CreateAssetMenu(fileName = "Monster", menuName = "New Monster")]public class MonsterData : ScriptableObject{ [Header("Info")] public int monsterHP; public int monsterPower; public int monsterWalkSpe..
1. 게임 개발 일정 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개발 기간 산정과 인건비 계산은 프로젝트의 뼈대가 될만큼 중요하다. 초기 계획이 잘못되면 프로젝트가 지연되면서 인건비 및 운영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정해진 인력과 정해진 일정 내에서 게임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업무 분담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해 일정 관리는 필수이다.목표 달성을 위한 체계적인 로드맵 필요하다.2. 기획자의 역할과 중요성게임 개발의 방향성과 일정 초안을 짜는 핵심 주체자로 기획자는 개발, 아트, QA 등 모든 직군의 업무 흐름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우선순위와 의존성(Dependency)을 고려하여 일정을 수립해야 하고 기본적인 일정 구성 역량을 갖추고 프로젝트마다 커스텀하는 능력이 필요하다.3. 개발 기간 산정과 인건비 측정개발 일..
1. 3D 모델 생성과 조정- 3D 모델 생성 과정3D 모델링은 버텍스를 찍는 것으로 시작하고 버텍스를 선으로 연결하여 삼각형을 만들어 메시(Mesh)를 구성한다.여러 메시를 합쳐 최종적으로 3D 모델이 완성되고 만들어진 3D 모델은 메쉬 데이터로 관리된다. - 버텍스 정보와 메시 생성포지션(Position): 위치노멀(Normal): 빛 반사를 위한 방향탄젠트(Tangent): 표면 방향UV: 텍스처 좌표위의 정보들로 모델의 외형을 정확하게 구현하고 삼각형의 조합으로 현실적인 메시 구조를 생성한다. 2. 3D 렌더링 최적화- 렌더링 과정 이해렌더링은 프레임 사이 간격 조절로 GPU 과부하를 방지한다.스프라이트 아웃라스 방식으로 이미지 표현하고 삼각형의 각 정점에 색 정보를 저장하여 최종 픽셀 색상 결정..